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는 1985년부터 1998년까지 지정된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목록이다. 이 기간 동안 사찰 건물, 향교, 석조 문화재, 불교 문화재, 비석, 목판, 고문서 등 다양한 유형의 문화재가 지정되었다. 일부 문화재는 보물 또는 사적으로 승격되어 그 가치를 인정받았으며, 개인 소장 유물도 포함되어 있다.
wikitext
2.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지정 목록 (제101호 ~ 제200호)
2. 1. 건축 문화재
wikitext
== 향교 ==
조선시대 지방 교육기관으로 건립된 향교는 전라남도 각지에 분포하며, 지역 사회의 교육과 문화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이들 향교는 건축 양식과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사찰 ==
== 기타 건축물 ==2. 1. 1. 향교
조선시대 지방 교육기관으로 건립된 향교는 전라남도 각지에 분포하며, 지역 사회의 교육과 문화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광주향교(123호, 1985년 2월 25일 지정, 1986년 11월 1일 해제, 광주 유형문화재 제9호로 지정)
이들 향교는 건축 양식과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특히, 나주향교는 2007년 7월 31일에 유형문화재에서 해제되고 사적 제483호로 승격되어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었다.
2. 1. 2. 사찰
정수사대웅전은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에 있는 사찰 건물이다. 1985년 2월 25일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01호로 지정되었다.
금탑사극락전은 전라남도 고흥군 포두면에 있는 사찰 건물이다. 1985년 2월 25일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02호로 지정되었다.
향림사삼층석탑은 전라남도 순천시 석현동에 있는 향림사 경내의 삼층석탑이다. 1985년 2월 25일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16호로 지정되었다.
쌍계사대웅전은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에 있는 사찰 건물이다. 1985년 2월 25일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21호로 지정되었다.
백련사대웅전은 전라남도 강진군 도암면에 있는 사찰 건물이다. 1986년 2월 7일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36호로 지정되었다.
선암사원통전은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에 있는 사찰 건물이다. 1990년 2월 24일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69호로 지정되었다.
2. 1. 3. 기타 건축물
다음은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1호에서 제200호 중 기타 건축물에 대한 설명이다.
금탑사극락전 (金塔寺極樂殿): 전남 고흥군 포두면 봉림리 700에 위치하며, 1985년 2월 25일 지정되었다. 관리자는 금탑사이다.
고흥향교 (高興鄕校): 전남 고흥군 고흥읍 행정리 149에 위치하며, 1985년 2월 25일 지정되었다. 관리자는 고흥향교이다.
순천향교 (順天鄕校): 전남 순천시 금곡동 182에 위치하며, 1985년 2월 25일 지정되었다. 관리자는 순천향교이다.
선암사원통전 (仙岩寺圓通殿): 전남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802에 위치하며, 1990년 2월 24일 지정되었다. 관리자는 선암사이다.2. 2. 불교 문화재
향림사삼층석탑(전남 순천시 석현동 230)은 1985년 2월 25일에 지정되었으며, 향림사에서 관리한다.
보성반석리석불좌상(전남 보성군 복내면 반석리 520)은 1985년 2월 25일에 지정되었으며, 보성군에서 관리한다.
장성내계리오층석탑(전남 장성군 삼계면 내계리 51)은 1986년 2월 7일에 지정되었으며, 박동희가 관리한다.
화엄사구층암석등(전남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12)은 1986년 2월 7일에 지정되었으며, 화엄사에서 관리한다.
구례사도리석불좌상(전남 구례군 마산면 사도리 산33-1)은 1986년 2월 7일에 지정되었으며, 이종기가 관리한다.
천관사석등(전남 장흥군 관산읍 농안리 740)은 1986년 2월 7일에 지정되었으며, 천관사에서 관리한다.
천관사오층석탑(전남 장흥군 관산읍 농안리 740)은 1986년 2월 7일에 지정되었으며, 천관사에서 관리한다.
용흥사부도군(전남 담양군 월산면 용흥리 산86-1)은 1986년 2월 7일에 지정되었으며, 용흥사에서 관리한다.
보성옥마리오층석탑(전남 보성군 노동면 옥마리 348)은 1986년 2월 7일에 지정되었으며, 월림사에서 관리한다.
중흥사석조지장보살반가상(전남 광양시 옥룡면 운평리 90-1)은 1986년 9월 29일에 지정되었으며, 중흥사에서 관리한다.
영은사석조여래좌상(전남 담양군 고서면 금현리 133)은 1986년 2월 7일에 지정되었으며, 영은사에서 관리한다.
담양분향리석불입상(전남 담양군 고서면 분향리 산15)은 1986년 9월 29일에 지정되었으며, 최성수가 관리한다.
영암월곡리마애여래좌상(전남 영암군 군서면 월곡리 월출산)은 1987년 6월 1일에 지정되었으며, 영암군에서 관리한다.
고흥용산리석조보살좌상(전남 고흥군 두원면 용산리 산143)은 1987년 9월 18일에 지정되었으며, 고흥군에서 관리한다.
고산사석불입상(전남 장흥군 장평면 용강리 산29-5)은 1988년 3월 16일에 지정되었으며, 고산사에서 관리한다.
함평해보리석불입상(전남 함평군 함평읍 함평리 154-1)은 1990년 2월 24일에 지정되었으며, 함평군에서 관리한다.
무안약사사석불입상(전남 무안군 무안읍 성동리 842-9)은 1990년 12월 5일에 지정되었으며, 약사사에서 관리한다.
구례대전리석불입상(전남 구례군 광의면 대전리 산46)은 1994년 1월 31일에 지정되었다.
장흥전의상암지석불입상(전남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45 보림사)은 1998년 2월 5일에 지정되었으며, 보림사에서 관리한다.
담양오룡리석불입상(전남 담양군 무정면 오룡리 산38)은 1998년 2월 5일에 지정되었으며, 차형철이 관리한다.
장흥구룡리마애여래좌상(전남 장흥군 부산면 구룡 산52)은 1998년 2월 5일에 지정되었으며, 장흥군에서 관리한다.
2. 2. 1. 석조 문화재
wikitext
향림사삼층석탑(전남 순천시 석현동 230)은 1985년 2월 25일에 지정되었으며, 향림사에서 관리한다.
~~보성유신리마애여래좌상(전남 보성군 율어면 유신리 125)은 1985년 2월 25일에 지정되었다가 1988년 4월 1일에 해제되었으며, 보성 유신리 마애여래좌상(보물 제944호)으로 승격되었다.~~
보성반석리석불좌상(전남 보성군 복내면 반석리 520)은 1985년 2월 25일에 지정되었으며, 보성군에서 관리한다.
장성내계리오층석탑(전남 장성군 삼계면 내계리 51)은 1986년 2월 7일에 지정되었으며, 박동희가 관리한다.
화엄사구층암석등(전남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12)은 1986년 2월 7일에 지정되었으며, 화엄사에서 관리한다.
구례사도리석불좌상(전남 구례군 마산면 사도리 산33-1)은 1986년 2월 7일에 지정되었으며, 이종기가 관리한다.
천관사석등(전남 장흥군 관산읍 농안리 740)은 1986년 2월 7일에 지정되었으며, 천관사에서 관리한다.
천관사오층석탑(전남 장흥군 관산읍 농안리 740)은 1986년 2월 7일에 지정되었으며, 천관사에서 관리한다.
~~용추사부도군(전남 담양군 용면 용연리)은 1986년 2월 7일에 지정되었으나, 1992년 3월 9일 일부 도난으로 인해 해제되었다.~~
용흥사부도군(전남 담양군 월산면 용흥리 산86-1)은 1986년 2월 7일에 지정되었으며, 용흥사에서 관리한다.
~~보성봉천리오층석탑(전남 보성군 복내면 봉천리 767)은 1986년 9월 29일에 지정되었다가 1992년 1월 15일에 해제되었으며, 보성 봉천리 오층석탑(보물 제1115호)으로 승격되었다.~~
보성옥마리오층석탑(전남 보성군 노동면 옥마리 348)은 1986년 2월 7일에 지정되었으며, 월림사에서 관리한다.
중흥사석조지장보살반가상(전남 광양시 옥룡면 운평리 90-1)은 1986년 9월 29일에 지정되었으며, 중흥사에서 관리한다.
영은사석조여래좌상(전남 담양군 고서면 금현리 133)은 1986년 2월 7일에 지정되었으며, 영은사에서 관리한다.
담양분향리석불입상(전남 담양군 고서면 분향리 산15)은 1986년 9월 29일에 지정되었으며, 최성수가 관리한다.
영암월곡리마애여래좌상(전남 영암군 군서면 월곡리 월출산)은 1987년 6월 1일에 지정되었으며, 영암군에서 관리한다.
~~도갑사오층석탑(전남 영암군 군서면 도갑리 6)은 1987년 6월 1일에 지정되었다가 2005년 6월 13일에 해제되었으며, 영암 도갑사 오층석탑(보물 제1433호)으로 승격되었다.~~
고흥용산리석조보살좌상(전남 고흥군 두원면 용산리 산143)은 1987년 9월 18일에 지정되었으며, 고흥군에서 관리한다.
고산사석불입상(전남 장흥군 장평면 용강리 산29-5)은 1988년 3월 16일에 지정되었으며, 고산사에서 관리한다.
함평해보리석불입상(전남 함평군 함평읍 함평리 154-1)은 1990년 2월 24일에 지정되었으며, 함평군에서 관리한다.
무안약사사석불입상(전남 무안군 무안읍 성동리 842-9)은 1990년 12월 5일에 지정되었으며, 약사사에서 관리한다.
구례대전리석불입상(전남 구례군 광의면 대전리 산46)은 1994년 1월 31일에 지정되었다.
장흥전의상암지석불입상(전남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45 보림사)은 1998년 2월 5일에 지정되었으며, 보림사에서 관리한다.
담양오룡리석불입상(전남 담양군 무정면 오룡리 산38)은 1998년 2월 5일에 지정되었으며, 차형철이 관리한다.
장흥구룡리마애여래좌상(전남 장흥군 부산면 구룡 산52)은 1998년 2월 5일에 지정되었으며, 장흥군에서 관리한다.
2. 2. 2. 불화 및 조각
wikitext
금탑사 극락전은 전라남도 고흥군 포두면에 있는 불전이다. 1985년 2월 25일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2호로 지정되었다.
보성반석리석불좌상은 전라남도 보성군 복내면에 있는 석불좌상이다. 1985년 2월 25일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22호로 지정되었다.
중흥사 석조지장보살반가상은 전라남도 광양시 옥룡면에 있는 지장보살상이다. 1986년 9월 29일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42호로 지정되었다.
영은사 석조여래좌상은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에 있는 석불좌상이다. 1986년 2월 7일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43호로 지정되었다.
담양 분향리 석불입상은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에 있는 석불입상이다. 1986년 9월 29일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44호로 지정되었다.
영암 월곡리 마애여래좌상은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에 있는 마애불이다. 1987년 6월 1일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49호로 지정되었다.
고흥 용산리 석조보살좌상은 전라남도 고흥군 두원에 있는 석불좌상이다. 1987년 9월 18일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58호로 지정되었다.
불갑사 사천왕상은 전라남도 영광군 불갑사에 있는 사천왕상이다. 1987년 9월 18일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59호로 지정되었다.
고산사 석불입상은 전라남도 장흥군 장평면에 있는 석불입상이다. 1988년 3월 16일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61호로 지정되었다.
대흥사 관음보살도는 전라남도 해남군 대흥사에 있는 관음보살도이다. 1991년 7월 19일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79호로 지정되었다.
함평 해보리 석불입상은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읍에 있는 석불입상이다. 1990년 2월 24일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71호로 지정되었다.
도갑사 도선국사 진영은 전라남도 영암군 도갑사에 있는 도선 국사의 초상화이다. 1990년 12월 5일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76호로 지정되었다.
도갑사 수미왕사 진영은 전라남도 영암군 도갑사에 있는 수미 왕사의 초상화이다. 1990년 12월 5일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77호로 지정되었다.
무안 약사사 석불입상은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에 있는 석불입상이다. 1990년 12월 5일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78호로 지정되었다.
강진 옥련사 목조여래좌상은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에 있는 목조 불상이다. 1995년 12월 26일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88호로 지정되었다.
장흥 전의상암지 석불입상은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보림사에 있는 석불입상이다. 1998년 2월 5일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91호로 지정되었다.
담양 오룡리 석불입상은 전라남도 담양군 무정면에 있는 석불입상이다. 1998년 2월 5일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92호로 지정되었다.
장흥 구룡리 마애여래좌상은 전라남도 장흥군 부산면에 있는 마애불이다. 1998년 2월 5일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93호로 지정되었다.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계초심학인문은 전라남도 장흥군 보림사 사천왕상 안에서 발견된 지눌의 저서이다. 1998년 8월 20일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94호로 지정되었다.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고봉화상선요는 전라남도 장흥군 보림사 사천왕상 안에서 발견된 고봉 화상의 저서이다. 1998년 8월 20일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95호로 지정되었다.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금강반야론은 전라남도 장흥군 보림사 사천왕상 안에서 발견된 불교 경전이다. 1998년 8월 20일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96호로 지정되었다.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대방광원각수다라료의경은 전라남도 장흥군 보림사 사천왕상 안에서 발견된 불교 경전이다. 1998년 8월 20일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97호로 지정되었다.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대전화상주심경은 전라남도 장흥군 보림사 사천왕상 안에서 발견된 불교 경전이다. 1998년 8월 20일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98호로 지정되었다.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몽산화상육도보설은 전라남도 장흥군 보림사 사천왕상 안에서 발견된 몽산 화상의 저서이다. 1998년 8월 20일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99호로 지정되었다.
보림사 사천왕상 복장 불설사십이장경은 전라남도 장흥군 보림사 사천왕상 안에서 발견된 불교 경전이다. 1998년 8월 20일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200호로 지정되었다.
2. 2. 3. 사찰 소장 유물
정수사대웅전은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용운리에 있는 사찰 건물로, 1985년 2월 25일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01호로 지정되었다.
금탑사극락전은 전라남도 고흥군 포두면 봉림리에 있는 사찰 건물로, 1985년 2월 25일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02호로 지정되었다.
향림사삼층석탑은 전라남도 순천시 석현동에 있는 석탑으로, 1985년 2월 25일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16호로 지정되었다.
쌍계사대웅전은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사천리에 있는 사찰 건물로, 1985년 2월 25일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21호로 지정되었다.
화엄사구층암석등은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에 있는 석등으로, 1986년 2월 7일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32호로 지정되었다.
천관사석등은 전라남도 장흥군 관산읍 농안리에 있는 석등으로, 1986년 2월 7일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34호로 지정되었다.
천관사오층석탑은 전라남도 장흥군 관산읍 농안리에 있는 오층석탑으로, 1986년 2월 7일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35호로 지정되었다.
백련사대웅전은 전라남도 강진군 도암면 만덕리에 있는 사찰 건물로, 1986년 2월 7일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36호로 지정되었다.
용흥사부도군은 전라남도 담양군 월산면 용흥리에 있는 부도군으로, 1986년 2월 7일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39호로 지정되었다.
중흥사석조지장보살반가상은 전라남도 광양시 옥룡면 운평리에 있는 석조 지장보살 반가상으로, 1986년 9월 29일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42호로 지정되었다.
영은사석조여래좌상은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 금현리에 있는 석조 여래 좌상으로, 1986년 2월 7일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43호로 지정되었다.
도갑사석조는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도갑리에 있는 석조 유물로, 1987년 6월 1일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50호로 지정되었다.
도갑사수미왕사비는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도갑리에 있는 비석으로, 1987년 6월 1일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52호로 지정되었다.
강진남강사주자갈필목판일괄은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 교촌리에 있는 목판으로, 1987년 6월 1일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54호로 지정되었다.
선암사원통전은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에 있는 사찰 건물로, 1990년 2월 24일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69호로 지정되었다.
함평보광사범종은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읍 함평리에 있는 범종으로, 1990년 2월 24일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72호로 지정되었다.
영광연흥사소장묘법연화경은 전라남도 영광군 군남면 육창로에 있는 묘법연화경으로, 1990년 12월 5일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75호로 지정되었다.
도갑사도선국사진영은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도갑리에 있는 도선국사 진영으로, 1990년 12월 5일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76호로 지정되었다.
도갑사수미왕사진영은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도갑리에 있는 수미왕사 진영으로, 1990년 12월 5일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77호로 지정되었다.
대흥사관음보살도는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에 있는 관음보살도로, 1991년 7월 19일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79호로 지정되었다.
영암녹동서원소장목판및고문서류는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교동리에 있는 목판 및 고문서류로, 1992년 11월 30일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83호로 지정되었다.
강진옥련사목조여래좌상은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 덕남리에 있는 목조 여래 좌상으로, 1995년 12월 26일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88호로 지정되었다.
장흥전의상암지석불입상은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에 있는 석불 입상으로, 1998년 2월 5일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91호로 지정되었다.
보림사사천왕상복장계초심학인문은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보림사에 있는 계초심학인문으로, 1998년 8월 20일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94호로 지정되었다.
보림사사천왕상복장고봉화상선요는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보림사에 있는 고봉화상선요로, 1998년 8월 20일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95호로 지정되었다.
보림사사천왕상복장금강반야론은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보림사에 있는 금강반야론으로, 1998년 8월 20일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96호로 지정되었다.
보림사사천왕상복장대방광원각수다라료의경은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보림사에 있는 대방광원각수다라료의경으로, 1998년 8월 20일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97호로 지정되었다.
보림사사천왕상복장대전화상주심경은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보림사에 있는 대전화상주심경으로, 1998년 8월 20일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98호로 지정되었다.
보림사사천왕상복장몽산화상육도보설은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보림사에 있는 몽산화상육도보설로, 1998년 8월 20일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99호로 지정되었다.
보림사사천왕상복장불설사십이장경은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보림사에 있는 불설사십이장경으로, 1998년 8월 20일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00호로 지정되었다.
2. 3. 기타 문화재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20호 장성 오산창의비와 창의사는 임진왜란 때 김경수 등 700여 의병들의 활동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비석과 사당이다. 1985년 2월 25일 지정되었으며, 전남 장성군 북이면 모현1길 70-7에 위치하고 오산사에서 관리한다.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37호 강진 백련사 사적비는 보물로 승격되어 해제되었다.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52호 도갑사수미왕사비는 도갑사를 중창한 수미왕사의 업적을 기리는 비석이다. 1987년 6월 1일 지정되었으며 전남 영암군 군서면 도갑리 6에 위치하고 도갑사에서 관리한다.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62호 서능정려비는 조선 중기 무신인 서능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비석이다. 1988년 3월 16일 지정되었으며 전남 장성군 북일면 박산리 128에 위치하고 장성서씨종중에서 관리한다.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73호 벌교도마교및석비는 홍교의 일종인 도마교와 관련된 석비이다. 1990년 12월 5일 지정되었으며, 전남 보성군 벌교읍 전동리 181에 위치하고 보성군에서 관리한다.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82호 광양송천사지회은장노비는 고려 희종 때의 승려인 회은의 탑비이다. 1992년 3월 9일 지정되었으며, 전남 광양시 옥룡면 동곡리 산196-1에 위치하고 광양시에서 관리한다.
곤재우득록목판(함평군 엄다면 엄다리 소재)은 1987년 6월 1일에 지정되었으며, 고성정씨 종중에서 관리한다.
강진남강사주자갈필목판일괄(강진군 강진읍 교촌리 소재)은 1987년 6월 1일에 지정되었으며, 강진향교에서 관리한다.
장성죽림사고문서일괄(장성군 북이면 만무리 소재)은 1988년 12월 21일에 지정되었으며, 봉산이씨 문중에서 관리한다.
반계사유물일괄(장흥군 장동면 반산리 소재)은 1988년 12월 21일에 지정되었으며, 영광정씨 종중에서 관리한다.
문익점부조묘관련문서일괄(보성군 미륵면 도개리 소재)은 1988년 12월 21일에 지정되었으며, 남평문씨 문중에서 관리한다.
해남윤씨족보목판(강진군 도암면 강정리 소재)은 1990년 2월 24일에 지정되었으며, 해남윤씨 종중에서 관리한다.
고흥이충무공친필첩자(고흥군 두원면 대전리 소재)는 1990년 12월 5일에 지정되었으며, 고령신씨 종중에서 관리한다.
영광연흥사소장묘법연화경(영광군 군남면 육창로 소재)은 1990년 12월 5일에 지정되었으며, 연흥사에서 관리한다.
옥산서실소장품일괄(해남군 옥천면 송산리 소재)은 1991년 7월 19일에 지정되었으며, 수원백씨 옥봉공파 문중에서 관리한다.
영암녹동서원소장목판및고문서류(영암군 영암읍 교동리 소재)는 1992년 11월 30일에 지정되었으며, 녹동서원에서 관리한다.
보림사사천왕상복장계초심학인문(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보림사 소재)은 1998년 8월 20일에 지정되었다.
보림사사천왕상복장고봉화상선요(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보림사 소재)은 1998년 8월 20일에 지정되었다.
보림사사천왕상복장금강반야론(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보림사 소재)은 1998년 8월 20일에 지정되었다.
보림사사천왕상복장대방광원각수다라료의경(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보림사 소재)은 1998년 8월 20일에 지정되었다.
보림사사천왕상복장대전화상주심경(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보림사 소재)은 1998년 8월 20일에 지정되었다.
보림사사천왕상복장몽산화상육도보설(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보림사 소재)은 1998년 8월 20일에 지정되었다.
보림사사천왕상복장불설사십이장경(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보림사 소재)은 1998년 8월 20일에 지정되었다.
개인이 소장하고 있는 유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2. 3. 1. 비석 및 석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20호 장성 오산창의비와 창의사는 임진왜란 때 김경수 등 700여 의병들의 활동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비석과 사당이다. 1985년 2월 25일 지정되었으며, 전남 장성군 북이면 모현1길 70-7에 위치하고 오산사에서 관리한다.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37호 강진 백련사 사적비는 보물로 승격되어 해제되었다.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52호 도갑사수미왕사비는 도갑사를 중창한 수미왕사의 업적을 기리는 비석이다. 1987년 6월 1일 지정되었으며 전남 영암군 군서면 도갑리 6에 위치하고 도갑사에서 관리한다.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62호 서능정려비는 조선 중기 무신인 서능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비석이다. 1988년 3월 16일 지정되었으며 전남 장성군 북일면 박산리 128에 위치하고 장성서씨종중에서 관리한다.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73호 벌교도마교및석비는 홍교의 일종인 도마교와 관련된 석비이다. 1990년 12월 5일 지정되었으며, 전남 보성군 벌교읍 전동리 181에 위치하고 보성군에서 관리한다.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82호 광양송천사지회은장노비는 고려 희종 때의 승려인 회은의 탑비이다. 1992년 3월 9일 지정되었으며, 전남 광양시 옥룡면 동곡리 산196-1에 위치하고 광양시에서 관리한다.
2. 3. 2. 목판 및 고문서
곤재우득록목판(함평군 엄다면 엄다리 소재)은 1987년 6월 1일에 지정되었으며, 고성정씨 종중에서 관리한다.
강진남강사주자갈필목판일괄(강진군 강진읍 교촌리 소재)은 1987년 6월 1일에 지정되었으며, 강진향교에서 관리한다.
장성죽림사고문서일괄(장성군 북이면 만무리 소재)은 1988년 12월 21일에 지정되었으며, 봉산이씨 문중에서 관리한다.
반계사유물일괄(장흥군 장동면 반산리 소재)은 1988년 12월 21일에 지정되었으며, 영광정씨 종중에서 관리한다.
문익점부조묘관련문서일괄(보성군 미륵면 도개리 소재)은 1988년 12월 21일에 지정되었으며, 남평문씨 문중에서 관리한다.
해남윤씨족보목판(강진군 도암면 강정리 소재)은 1990년 2월 24일에 지정되었으며, 해남윤씨 종중에서 관리한다.
고흥이충무공친필첩자(고흥군 두원면 대전리 소재)는 1990년 12월 5일에 지정되었으며, 고령신씨 종중에서 관리한다.
영광연흥사소장묘법연화경(영광군 군남면 육창로 소재)은 1990년 12월 5일에 지정되었으며, 연흥사에서 관리한다.
옥산서실소장품일괄(해남군 옥천면 송산리 소재)은 1991년 7월 19일에 지정되었으며, 수원백씨 옥봉공파 문중에서 관리한다.
영암녹동서원소장목판및고문서류(영암군 영암읍 교동리 소재)는 1992년 11월 30일에 지정되었으며, 녹동서원에서 관리한다.
보림사사천왕상복장계초심학인문(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보림사 소재)은 1998년 8월 20일에 지정되었다.
보림사사천왕상복장고봉화상선요(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보림사 소재)은 1998년 8월 20일에 지정되었다.
보림사사천왕상복장금강반야론(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보림사 소재)은 1998년 8월 20일에 지정되었다.
보림사사천왕상복장대방광원각수다라료의경(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보림사 소재)은 1998년 8월 20일에 지정되었다.
보림사사천왕상복장대전화상주심경(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보림사 소재)은 1998년 8월 20일에 지정되었다.
보림사사천왕상복장몽산화상육도보설(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보림사 소재)은 1998년 8월 20일에 지정되었다.
보림사사천왕상복장불설사십이장경(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보림사 소재)은 1998년 8월 20일에 지정되었다.
2. 3. 3. 개인 소장 유물
개인이 소장하고 있는 유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2. 4. 보물 및 사적 승격 문화재
다음은 보물로 승격된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목록이다.
문화재명 | 지정 해제일 | 승격된 보물 |
---|---|---|
보성 유신리 마애여래좌상 | 1988년 4월 1일 | 보물 제944호 |
선암사선조암지부도 | 1993년 11월 19일 | 보물 제1184호 |
도림사괘불 | 2002년 7월 2일 | 보물 제1341호 |
유마사부도 | 1992년 2월 15일 | 보물 제1116호 |
백련사사적비 | 2004년 1월 26일 | 보물 제1396호 |
보성 봉천리 오층석탑 | 1992년 1월 15일 | 보물 제1115호 |
미황사응진당 | 1993년 11월 19일 | 보물 제1183호 |
주사선연도등신여량장군유품 | 2017년 8월 17일 | 보물 제1937호 등 재지정 및 해제 |
도갑사오층석탑 | 2005년 6월 13일 | 보물 제1433호 |
선암사무우전부도 | 1993년 11월 19일 | 보물 제1185호 |
선암사대각암부도 | 1992년 1월 15일 | 보물 제1117호 |
해남 대흥사 서산대사 의발 등 유물 일괄 | 2002년 12월 7일 | 보물 제1357호 |
대흥사 서산대사유물 | 2002년 12월 7일 | 보물 제1357호 |
운곡사소장광해군교서 | 2000년 12월 22일 | 보물 제1304호 |
화순만연사괘불 | 2002년 7월 2일 | 보물 제1345호 |
흥국사관세음보살탱화 | 2002년 1월 2일 | 보물 제1332호 |
나주죽림사소장괘불 | 1998년 6월 29일 | 보물 제1279호 |
다음은 사적으로 승격된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목록이다.
2. 4. 1. 보물 승격 문화재
다음은 보물로 승격된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목록이다.문화재명 | 지정 해제일 | 승격된 보물 |
---|---|---|
보성유신리마애여래좌상 | 1988년 4월 1일 | 보물 제944호 |
선암사선조암지부도 | 1993년 11월 19일 | 보물 제1184호 |
도림사괘불 | 2002년 7월 2일 | 보물 제1341호 |
유마사부도 | 1992년 2월 15일 | 보물 제1116호 |
백련사사적비 | 2004년 1월 26일 | 보물 제1396호 |
보성봉천리오층석탑 | 1992년 1월 15일 | 보물 제1115호 |
미황사응진당 | 1993년 11월 19일 | 보물 제1183호 |
주사선연도등신여량장군유품 | 2017년 8월 17일 | 보물 제1937호 등 재지정 및 해제 |
도갑사오층석탑 | 2005년 6월 13일 | 보물 제1433호 |
선암사무우전부도 | 1993년 11월 19일 | 보물 제1185호 |
선암사대각암부도 | 1992년 1월 15일 | 보물 제1117호 |
해남 대흥사 서산대사 의발 등 유물 일괄 | 2002년 12월 7일 | 보물 제1357호 |
대흥사 서산대사유물 | 2002년 12월 7일 | 보물 제1357호 |
운곡사소장광해군교서 | 2000년 12월 22일 | 보물 제1304호 |
화순만연사괘불 | 2002년 7월 2일 | 보물 제1345호 |
흥국사관세음보살탱화 | 2002년 1월 2일 | 보물 제1332호 |
나주죽림사소장괘불 | 1998년 6월 29일 | 보물 제1279호 |
2. 4. 2. 사적 승격 문화재
다음은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중 사적으로 승격된 문화재 목록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